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표준3

MIDI란? 음악을 만들고자 하면 MIDI 라는 단어를 엄청 많이 듣게 되어있다. 지금은 그냥 뭐 연결하는 어떤 무엇인가 보다 하고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하는데, 좀더 파해쳐 보자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는 기술표준이다. 해당 기술표준에는 통신 프로토콜, 디지털 인터페이스, 전기 연결 까지 광범위하며, 전자 악기와 컴퓨터 그리고 관련된 오디오 장비들끼리 연결하여 연주, 편집, 레코딩을 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싱글 MIDI 케이블은 16개의 채널의 MIDI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악기에서의 인터렉션은 Key, Button, Knob, Slider, note's pitch, Timing, loudness 등의 정보를 전달한다. 미디.. 2023. 6. 28.
AIFF 파일형식 AIFF는 WAV와 동일한 PCM을 이용해 만든 Apple Inc의 파일 형식이다. 1988년에 Apple Inc가 게임회사인 Electronic Arts 사의 IFF(Interchange File Format)을 기반으로 공동 개발했다. WAV와 동일하게 가공되지 않고 압축되지 않은 소리 데이터 이다. 물론 압축의 형태도 있지만 그건 이번엔 무시. 파일 확장자는 .aiff, aif, aifc 이다. 파일의 사이즈는 WAV 보다 부가정보를 더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소리의 경우 용량이 더 클 수 있다. AIFF 파일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필수) 1. FORM AIFF 덩어리 2. Common 덩어리 3. Sound Data 덩어리 이 이미지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에 추가로 아래와 같은 각.. 2023. 6. 8.
WAV 파일 형식 WAV 또는 WAVE 는 웨이브폼 오디오 포맷(Waveform Audio Format)의 줄임말이다. Microsoft와 IBM 이 같이 개발한 오디오 파일 포맷 표준이다. 가공되지 않고 압축하지 않은 덩어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RIFF 방식으로 변화한 것으로 아미가에 쓰이는 IFFF와 애플에서 쓰이는 AIFF 포맷과 유사한 방식이다. WAV는 기본적으로 비압축, 비가공으로 알고 있으나, WAV는 단순 컨테이너로 다양한 압축을 지원하기도 한다. 압축한 형태의 확장자(컨테이너)는 다양하므로 그 내용은 무시하고 비압축, 비가공 WAV만 보기로 한다. WAV 파일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RIFF 설명 덩어리 2. fmt 덩어리 3. 데이터 덩어리 여기 잘 정리된 표가 있어서 공유 한다. .. 2023. 6.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