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WAV4

PCM 변조 방식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Bernard M. Oliver, Claude Shannon, John R. Pierce에 의해 고안되고 발명 되었다. 소리 등의 연속되는 값을 기록하기 위해 쓰이며, 전자악기의 음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롬팩을 사용해 미리 음원을 저장하는 방식과, 음파를 삼각함수로 분석한 데이터를 담아놓고 필요할 때마다 랜더링 해 소리를 내는 방식이 있다. 이름이 원리를 그대로 설명하고 있다. PCM 단계 1. 샘플링 :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 정해진 시간단위로 잘개 쪼갠다고 보면 된다. 흔히 사용하는 44,100hz라 하면 1초당 44,100개로 쪼갠다고 보면 된다. .. 2023. 6. 8.
WAV 압축 방식 흔히 WAV는 비압축 오디오 포멧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압축 형식만 있는 것이 아니고 여러 압축 코덱을 이용해 압축 할 수 있다. 제공되는 압축 형식은 다음과 같다. Format Bitrate (kbit/s) 1 minute (KiB) 11,025 Hz 16 bit PCM 176.4 1292 8,000 Hz 16 bit PCM 128 938 11,025 Hz 8 bit PCM 88.2 646 11,025 Hz µ-Law 88.2 646 8,000 Hz 8 bit PCM 64 469 8,000 Hz µ-Law 64 469 11,025 Hz 4 bit ADPCM 44.1 323 8,000 Hz 4 bit ADPCM 32 234 11,025 Hz GSM 06.10 18 132 8,000 Hz MP3 16 kb.. 2023. 6. 8.
WAV 파일 형식 WAV 또는 WAVE 는 웨이브폼 오디오 포맷(Waveform Audio Format)의 줄임말이다. Microsoft와 IBM 이 같이 개발한 오디오 파일 포맷 표준이다. 가공되지 않고 압축하지 않은 덩어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RIFF 방식으로 변화한 것으로 아미가에 쓰이는 IFFF와 애플에서 쓰이는 AIFF 포맷과 유사한 방식이다. WAV는 기본적으로 비압축, 비가공으로 알고 있으나, WAV는 단순 컨테이너로 다양한 압축을 지원하기도 한다. 압축한 형태의 확장자(컨테이너)는 다양하므로 그 내용은 무시하고 비압축, 비가공 WAV만 보기로 한다. WAV 파일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1. RIFF 설명 덩어리 2. fmt 덩어리 3. 데이터 덩어리 여기 잘 정리된 표가 있어서 공유 한다. .. 2023. 6. 7.
WAV, AIFF 파일 형식 차이 둘다 무손실 음악 파일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음악 애호가 사이에서는 음질의 차이가 있느니 없느니 하는데 디지털 이론상으로는 동일한 데이터이고 저장방식만 다르다. WAV(WAVeform audio format) Microsoft 와 IBM이 개발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RIFF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 주로 PCM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 한다. 무손실, 무압축. 과거 CD에 기록된 음악을 무손실, 무압축으로 파일로 추출한것과 동일하다. 4GB의 용량제한이 있다. 그래서 WAV 파일의 컨테이너도 Wave64, RF64 규격 등이 있다. 특징 : 대부분의 장비에서 인식한다. 단, 특이한 컨테이너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샘플링 비트,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인식을 잘 못할 수 있다. 파일 확장자는 .wav를 .. 2023. 6. 7.
728x90
반응형